[REPORT] [인문사회]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부정적 입장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5:03본문
Download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부정적 입장.hwp
우리는 미국의 이라크 주둔이 과연 인류를 위협하는 테러와의 전쟁 때문인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혈맹적인 관계입니다. 우리들은 이 문제가 한미관계 뿐 아니라 나라의 장래에 미치는 影響(영향)이 너무 크다고 보아 다음과 같이 우리의 견해를 밝히고자 합니다. 한국은 지난 27년 간 독재하에서 고통을 겪다가...
인문사회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부정적 입장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설명
다. 따라서 한국은 미국이 행하고 있는 테러와의 전쟁에 적극 협력해야 합니다. 또 우리가 우리 軍의 인명피해만을 염려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한국전을 기억하는 미국국민은 실망감을 가지고 우리를 바라볼 것입니다. 성숙한 한미관계의 途上에서 우리를 가장 괴롭히는 문제는 바로 이 점입니다. 이 점에 관련되어는 미국의 후세인 타도를 지지하는 이라크인들 조차도 지금 미국이 이라크에 주둔하는 이유는 이라크의 민주주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이라크에서의 석유이권을 위해서라고 분명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인문사회]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부정적 입장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난 9월 미국이 한국에 이라크추가파...
Download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부정적 입장.hwp( 14 )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난 9월 미국이 한국에 이라크추가파...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우리의 견해 지난 9월 미국이 한국에 이라크추가파병을 요청한 이래로 한국국민 사이에 이 문제에 관한 논란이 뜨겁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미국국민과 함께 한미관계를 보다 성숙한 관계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그것은 미국의 이라크 주둔이 진정으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입니다. 그러나 성숙한 한미관계를 위해 우리가 심각하게 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과거 미국이 3만 8천명에 달하는 미군의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한국전에 참전하지 않았더라면, 오늘의 한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또한 9.11 테러는 미국에 대한 공격일 뿐만 아니라 인류사회 전체를 향한 공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미국이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된다면, 우리는 위험을 아랑곳하지 않고 미국을 도와야 합니다. 이라크추가파병 문제를 논의하면서 한미관계를 손익계산처럼 서로 주고받는 거래관계로 보거나 혹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보복 당하는’ 냉혹한 관계로 파악하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일입니다.